학부모용 진로소식지 드림레터

드림레터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진로지도에 필요한 진로지도 방법, 학교 진로교육 정보,
자녀 진로상담 사례, 체험 정보, 다양한 직업 및 학과 정보를 담아 학기 중에 정기적으로 보내는 진로소식지입니다.

[드림레터 제 2020-05호] 드림레터 정기구독 신청하기

영화 속 직업인은 나야 나!

등록일 : 2020.06.0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포켓

직업세계이해

"영화 속 직업인은 나야 나!"


영화 주인공은 직업이 100가지라고요?
영화 속 에는 수많은 직업인들이 등장하여 각자의 분야에서 활약합니다. 직업인들 저마다의 사명 의식을 다룬 국내외 영화도 개봉되었습니다. 주인공은 금융인이나 변호사부터 전직 시인, 고등학교 체육교사, BJ까지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직업 세계를 보다 생생하게 확 인하려면 명장면, 명대사로 유명 한 영화를 자녀와 함께 감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좋아하는 배우가 있다면, 해당 배우가 출연한 영화를 이어 보면서 어떤 역할과 직업으로 연기했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습니다. 영화를 보며 직업을 알아가는 즐거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

영화 등장인물의 직업 활약상, 명장면으로
영화의 등장인물은 청소년들이 접하지 못했던 직업 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향료를 다루는 조 향사나 대형 수족관의 수중생물을 관리하며 공연을 기획하는 아쿠아리스트, 허리케인 전문 기상학자까지 영화를 통해 이색적인 직업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열정적으로 일을 하는 모 습은 영화의 명장면, 명대사를 탄생시키기도 합니다. 학부모와 자녀가 각자 좋아하는 영화의 명장면이 무엇인지 이야기 나누어 보세요. 그리고 명장면, 명대사 속에 숨은 직업 이야기를 발견해 봅시다. 명장면을 만든 멋진 직업인 주인공을 따라하며 직업인의 역할과 사명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봅시다.



학부모 진로
                                                                                               

Q&A


Q. 영화를 통해 자녀와 진로를 탐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A. 영화를 감상하며 직업 세계를 살펴보는 것은 재미와 감동, 메시지까지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렇지만 영화는 관객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허구적인 이야기를 더합니다. 즉 영화에서 묘사되는 장면이 실제 직업 생활과 다를 수 있습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로 직업을 살펴보거나, 영화를 감상한 뒤 여러 사람과 이야기 나누며 다양한 시각을 가지는 게 좋습니다.

진로활동

"직업이 보이는 명장면, 내가 되고 싶은 직업인은?"
영화를 감상하고 난 다음에는 주인공이 직업 분야에서 활약했던 명장면을 캡처해 봅시다. 캡처 사진을 아래에 붙이고 왜 이 장면을 명장면으로 선택했는지, 어떤 부분이 멋있었는지 함께 이야기 나누어 보세요. 그리고 자녀는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지고 어떻게, 누구를 위해 일하고 싶은지 대화해 보세요. 영화의 여러 장면을 떠올리다 보면 자녀가 진정으로 원하는 직업인의 모습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직업 분야에서 활약한 영화 명장면 1 직업 분야에서 활약한 영화 명장면 2 영화 제목 :  캡처 사진 붙이기 영화 제목 :  캡처 사진 붙이기 명장면 선정 이유 명장면 선정 이유 영화 제목 : <라라랜드> 명장면 : 배우 지망생인 주인공 ‘미아’가 1인극을 공연한 장면 명장면 선정 이유 : 이 장면은 ‘미아’가 자신이 가장 초라하다고 느낀 순간입니다. 사람도 몇 명 없는 극장에서 눈물을 참고, 자신이 성심성의껏 준비한 공연을 끝까지 마무리합니다. 배우가 되겠다는 꿈이 1인극 이후 무너져 버렸지만, 미아는 무대 위에서 충분히 빛이 났고 멋졌습니다. 1인극을 하지 않았다면, 끝까지 마무리 하지 못했다면 그녀는 화려한 데뷔를 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가장 초라하고 슬펐던 순간이 오히려 직업인으로 발돋움하고 성장하는 명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미아처럼 어려움과 시련을 견뎌내고 꿈을 이루고 싶습니다.

 자료: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진로소식지 드림레터(2020-05호) 재가공 

목록보기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